Z세대란
- 1995년 이후 출생자
- 태어날 때부터 디지털 환경에 노출된 세대
- 전체 인구의 약 16%를 차지
- X세대의 자녀 세대
- 부모 세대의 자유로운 가치관을 물려받음
- 개인주의적, 현실주의적 성향을 지님
밀레니엄 세대와 Z세대는 닮은 듯 하지만 다른 이유중 가장 큰 이유는 부모 세대가 다르기 때문이다.
밀레니엄 세대 | Z세대 |
* 무에서 유를 이룸 * 인생의 가장 중요한 가치는 경쟁에서 승리하는 것 * 노력하면 못할 일이 없다는 자신감 형성 |
* 디지털 학습도가 높음 * 자유로운 가치관 * 자기자신에게 집중하며 개성을 존중하고 표현함 |
Z세대에게 가장 중요한것
- 나
- 다양성
- 개방성
Z세대는
밀레니엄 세대에 비해 더 독립적이고 개인주의적이다.
그래서 각자의 색깔과 개성을 중시하고 이를 과감하고 솔직하게 표현한다.
또한 여행이 일상이고 외국어에도 능통한 세대인 만큼 다양성 및 개방성에 대해서도
열린 마음이며 중요하게 생각한다.
Z세대는
스마트폰에 죽고 스마트폰에 사는 스마트폰을 쥐고 자란 세대이다.
Z세대는 디지털 네이티브, 디지털 원어민으로 신기술과 변화에는 민감하지만, 아날로그 환경을 체험하지 못한 첫 세대이기도 하다.
그래서 모바일 선호도가 높으며, 평균 5개 이상의 전자기기를 다룰 정도로 디지털과 SNS에 가장 능숙한 세대이다.
Z세대는
한번도 호황기를 누려보지 못한 세대이다.
부모세대가 1997년 외환위기를 맞고, 2000년대 금융위기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격는 모습을 보고 자랐기 때문에 안정성과 실용성을 추구한다.
또한 현실적이기 때문에 밀레니엄 세대에 비해 저축도 많이 한다.
그렇기 때문에 MZ세대로 묶여도 타깃별로 접근할 때는 이 차이를 염두해 두고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Z세대는
SNS로 소통하는 세대이다.
유튜브세대라고도 불리는 Z세대는 SNS를 통해 관심사를 공유하고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많이 생산한다.
콘텐츠 소비자인 동시에 생산자이기 때문에 SNS 사용량도 그 어떤 세대보다 높고, 온라인 상에서의 영향력도 크다.
검색과 콘텐츠 변화의 중심에는 Z세대가 있다.
기존 세대는 포털 위주의 검색을 하는데 텍스트 중심의 콘텐츠이고 읽고 쓰던 시대이다.
그러나 Z세대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검색을 하고, 영상 또는 음성 콘텐츠가 주를 이루며, 말하고 듣고 보는 시대이다.
Z세대는 인터넷 헤비유저이고, TV가 아닌 모바일로 영상을 시청한다.
Z세대만의 SNS 언어는 전화 통화보다는 문자, 오프라인 보다는 온라인이 더 편한 세대이다. 온라인 문자 및 이모티콘 등 소통방식에서 그들만의 언어도 생겼다.
한글 자모를 모양이 비슷한 것으로 바꿔서 표현하기도하고
예) 멍멍이 --> 댕댕이, 명언 --> 띵언 등.
초성체를 이용하여 표현한다.
예) ㅇㅈ? ㅇㅇㅈ --> 인정? 어 인정 등.
Z세대는
유행에 엄청 민감한 세대이다.
새롭게 사고하고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Z세대는 변화에 민감하다.
그래서 하나를 깊게 파는 성향의 밀레니엄 세대와는 다르게 다양하게 알아보길 원하고 인관관계에서도 관심사를 중심으로 쉽게 만나고 쉽게 헤어진다.
Z세대는
메인이 아니어도 괜찮은 세대이다.
Z세대는 다른 세대와 달리 대세에 따르지 않고 소신을 지키는 성향이 강하다.
칭찬과 타인의 인정 등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밀레니엄 세대와는 다른 점이다.
그래서 Z세대는 굳이 주류일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며, 오히려 다수의 트렌드를 따르기보다는
자신의 관심사를 바탕으로 틈새문화, 마니아층 문화를 즐긴다.
Z세대가 중요한 이유는
- 밀레니엄 세대에 비해 아직 구매력은 낮지만 활발한 SNS를 통해 온라인 여론을 주도할 수 있다.
- 온라인을 통해 트렌드를 형성하고 공유한다.
- 영향력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태어날 때부터 온전히 디지털에 노출되었던, 그래서 디지털이 자연스럽고 편한 Z세대는
지금은 온라인을 통해 영향력을 발휘하는 중이지만, 앞으로 이들은 변화의 중심이 될 것이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Z세대가 열광하는 트렌드 (0) | 2021.12.07 |
---|---|
MZ세대가 일하는 방법 (0) | 2021.12.06 |
밀레니엄 세대를 알아보자. (0) | 2021.12.03 |
닥터 최태수를 보면서 알아두면 좋은 정보 정리 (0) | 2021.10.13 |
SCM 용어 정리 (0) | 2021.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