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자를 숫자로 변환하는 간단한 방법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예를들면 "1111" 이라는 string 값을 1111 이라는 int 값으로 변경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렇게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은 3가지가 존재합니다.
첫번째는 Convert.ToInt32()를 사용,
두번째는 int.Parse()를 사용,
세번째는 int.TryParse()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코드로 보면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string strValue = "1111";
int intValue1 = Convert.ToInt32(strValue);
int intValue2 = int.Parse(strValue);
int intValue3 = 0;
int.TryParse(strValue, out intValue3);
위 와 같이 구문을 작성하고 디버깅을 해보면 아래와 같이 잘 변환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세가지 방법중에 첫번째와 두번째는 문자를 숫자로 변경할 수 없을 경우에는 에러를 발생시키게 됩니다.
AAAAA 값으로 변경하고 Convert.ToInt32()를 통해서 형변환을 하려 할 때
FormatException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그래서 첫번째와 두번째 방법으로 변경할 때는 문자열 값이 무조건 숫자형식으로 들어온다는 보장이 될 때 사용하면 되고, 그렇지 않다면 3번째 방법인 int.TryParse() 구문으로 사용하는게 예외처리도 되고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long, double, decimal등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형변환을 할 수 있으니 응용해서 사용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문자를 숫자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부족한 점이 있으면 댓글 달아주시면 보완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열에 있는 String 값을 연결하는 방법 (0) | 2021.05.25 |
---|---|
C# 대칭수(회문수 - Palindromic number ) 인지 확인하는 소스 (0) | 2020.10.26 |
C# 문자열을 특정 기호를 기준으로 split 하기 (0) | 2020.10.26 |
C# 10진수를 2진수, 8진수, 16진수로 표시하는 방법 (0) | 2020.10.26 |
C# 함수에 virtual ( 함수 재 정의 )사용 예제입니다. (0) | 2020.10.26 |
댓글